티스토리 뷰
실업급여온라인 취업 특강 홈페이지 바로가기, 이용안내
@바다 2024. 1. 14. 04:50
실업급여 를 받는 수급자들은 실업인정대상기간 동안 구직활동 을 하며 재취업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러한 재취업활동 중에서도 구직 외 활동 중 하나로 '취업특강 '과 '온라인 취업특강 '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업급여온라인 취업 특강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실업급여와 재취업활동
실업급여 수급자는 실업인정대상기간 중 구직활동 및 구직 외 활동 등 재취업활동을 수행해야 합니다. 재취업활동은 구직활동 과 구직 외 활동으로 나뉘며, 구직급여 담당자는 이러한 활동을 확인하여 구직급여를 지급하게 됩니다.
취업특강과 온라인특강
취업특강 과 온라인특강(STEP 포함)은 실업급여 를 받는 수급자가 실업상태에서 적극적인 취업활동을 해야 하는 활동으로 인정됩니다. 이 중에서도 온라인 취업특강 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온라인 취업특강의 특징
- 온라인 취업특강 은 인터넷을 통해 고용보험에 접속하여 개인서비스에서 수강할 수 있습니다.
- 1회 수강 시 재취업활동 1회로 인정되며, 중복 수강은 실업인정을 받을 수 없습니다.
- 2차 실업인정일부터 4차까지 온라인 취업특강 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재취업활동 최소횟수 및 인정범위
일반수급자의 경우 재취업활동 중 구직 외 활동 및 구직활동 최소 횟수와 인정범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2차: 4주 1회 구직활동 및 구직외활동 선택 가능
- 3차: 4주 1회 구직활동 및 구직외활동 선택 가능
- 4차: 4주 1회 구직활동 및 구직외활동 선택 가능
- 5차: 4주 2회 구직활동 반드시 1회 포함
- 6차: 4주 2회 구직활동 반드시 1회 포함
증빙자료와 주의사항
재취업활동을 증빙할 때 필요한 증빙자료와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워크넷 입사지원: 증빙자료 불필요, 구직활동 으로 인정
- 온라인취업특강 : 증빙자료 불필요, 구직외활동으로 인정, 전체 실업인정 기간 중에 3회만 인정
- 내일배움카드 수강훈련: 수강증명서와 출석부사본 필요, 출석율 80% 이상, 30시간 미만은 구직활동 1회로 인정, 30시간 이상은 구직활동 횟수 모두 충족으로 인정
- 민간 취업포털 사이트지원: 취업활동증명서 또는 구직활동 증명서 필요, 지인소개나 구인공고 없는 사업장 지원은 명함 인정 불가
- 직업심리검사: 직업심리검사결과지 필요, 구직외활동으로 인정, 전체기간 중 1회만 인정
- 단기취업특강 : 수료증과 교육참가확인증 필요, 구직외활동으로 인정
- 민간사설학원 수강: 수강증명서와 출석부사본 필요, 구직외활동으로 인정
- 취업희망 직종 관련 자격시험응시: 응시표 필요, 구직외활동으로 인정
실업급여 수급자들은 재취업활동을 통해 구직활동 및 구직 외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온라인 취업특강 은 손쉽게 실업인정을 받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실업급여 를 받는 분들은 이러한 재취업활동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빠르게 다시 취업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재취업활동 |
최소횟수 |
인정범위 |
2차 |
4주 1회 |
구직활동 및 구직외활동 선택 가능 |
3차 |
4주 1회 |
구직활동 및 구직외활동 선택 가능 |
4차 |
4주 1회 |
구직활동 및 구직외활동 선택 가능 |
5차 |
4주 2회 |
구직활동 반드시 1회 포함 |
6차 |
4주 2회 |
구직활동 반드시 1회 포함 |
증빙자료 |
필요사항 |
워크넷 입사지원 |
증빙자료 불필요 |
온라인취업특강 |
증빙자료 불필요, 전체 실업인정 기간 중에 3회만 인정 |
내일배움카드 수강훈련 |
수강증명서와 출석부사본 필요, 출석율 80% 이상, 30시간 미만은 구직활동 1회로 인정, 30시간 이상은 구직활동횟수 모두 충족으로 인정 |
민간 취업포털 사이트지원 |
취업활동증명서 또는 구직활동증명서 필요, 지인소개나 구인공고 없는 사업장 지원은 명함 인정 불가 |
직업심리검사 |
직업심리검사결과지 필요, 전체기간 중 1회만 인정 |
단기취업특강 |
수료증과 교육참가확인증 필요 |
민간사설학원 수강 |
수강증명서와 출석부사본 필요 |
취업희망 직종 관련 자격시험응시 |
응시표 필요 |
실업급여 수급자들은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재취업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다시 취업하는 데 성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