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예비군 나이, 편성 기준과 교육 내용 알아보기
@바다 2024. 1. 27. 20:45
예비군은 전쟁이나 긴박한 상황에서 추가 병력 동원이 필요한 경우 민간인 신분에서 선발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비군에 편성되는 대상과 나이 제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민방위 편성과 훈련 내용, 그리고 현실적인 정보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비군의 역할
- 예비군은 전쟁이나 긴박한 상황에 추가 병력 동원이 필요한 경우 민간인 신분에서 선발됩니다.
- 예비역 장요, 준사관, 부사관은 정년에 따라 예비군에 편성됩니다.
예비군 편성대상과 나이 제한
- 대장부터 하사까지의 계급과 해당 정년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위부터 준위까지의 계급과 해당 정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예비군에 편성되는 대상은 현역병, 상근예비역, 전환복무자, 사회 복무요원, 대체 복무요원, 산업기능요원, 전문연구요원 등이 포함됩니다.
계급 |
대장 |
중장 |
소장 |
준장 |
대령 |
중령 |
소령 |
정년 |
63세 |
61세 |
59세 |
58세 |
56세 |
53세 |
45세 |
계급 |
대위~소위 |
준위 |
원사 |
상사 |
중사 |
하사 |
정년 |
43세 |
55세 |
55세 |
53세 |
45세 |
40세 |
민방위 편성과 훈련 내용
민방위의 역할
- 민방위는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으로, 민방위 사태로부터 주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민방위 편성 연령은 예비군 편성이 해제된 이후부터 만 40세까지이며, 대상 연령은 만 20세부터 만 40세까지입니다.
민방위 교육 시간
- 교육 시간은 연차에 따라 다릅니다:
- 편성 1~2년차 대원: 연 4시간
- 편성 3~4년차 대원: 연 2시간 (사이버교육)
- 편성 5년차 이상~40세 대원: 연 1시간 (사이버교육)
예비군과 민방위의 현실
- 예비군을 받는 나이는 만 40세까지 가능하며, 만 37세까지는 군대를 가지 않고 해외에 나가도 합법적으로 군대를 가지 않게 됩니다.
- 예비군 훈련은 최대 8년차까지 진행되며, 7년차와 8년차는 전화대기만 하게 됩니다.
- 민방위 훈련은 만 20세부터 40세까지 실시되며, 예비군 훈련을 마친 경우 최대 10년차까지 민방위 훈련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군대를 늦게 가고 돌아온 경우 예비군 훈련을 받지 않아도 민방위 훈련을 최대 10년차까지 받을 수 있는데, 이에 대한 형평성 논란이 있습니다.
예비군 나이와 편성 기준
- 예비군은 다양한 계급과 나이 제한에 따라 편성됩니다. 대장부터 하사까지의 계급과 해당 정년은 다양하게 나뉘며, 대위부터 준위까지의 계급도 별도의 나이 제한이 있습니다.
민방위 훈련과 교육
- 민방위는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교육 시간은 연차에 따라 다르게 지정됩니다.
예비군과 민방위의 현실
- 예비군과 민방위의 연령과 훈련 내용에 대한 현실적인 정보를 확인하세요.
연도 |
예비군 연차 |
훈련 내용 |
비고 |
2023년 |
0년차 |
소집없음 |
2023년 제대(전역) 가정 |
2024년 |
1년차 |
동원훈련(2박3일) 또는 동미참(2박 3일 또는 32시간) |
훈련방식은 매년 랜덤으로 지정됨 |
2025년 |
2년차 |
||
2026년 |
3년차 |
||
2027년 |
4년차 |
||
2028년 |
5년차 |
기본훈련 8시간 + 작계훈련 12시간 |
|
2029년 |
6년차 |
||
2030년 |
7년차 |
미이수 훈련(이라 부르고 아무것도 안함) |
|
2031년 |
8년차 |
||
2032년 |
민방위 편입 |
||
연차 |
교육방법 |
교육시간 |
|
1~2년차 |
집합 교육 |
4시간 |
|
3~4년차 |
사이버 교육 |
2시간(사이버 교육 홈페이지) |
|
5년차 이상 |
사이버 교육 |
1시간(사이버 교육 홈페이지) |
예비군과 민방위는 국가의 안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예비군은 여러 계급과 나이 제한에 따라 편성되며, 민방위는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각각의 훈련 내용과 현실적인 정보를 확인하여 나의 안전을 위해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