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세금우대 한도 세금 혜택 종류와 한도 정보 1분정리
@바다 2024. 1. 31. 22:57
세금을 줄이고 싶은 사람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세금우대 한도 '에 대한 정보를 알면 어떤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어떤 한도가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세금 우대 혜택은 소득세를 납부할 때 도움이 되는데, 세금 우대 저축, 비과세 종합 저축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세금 혜택 종류
세금 우대 혜택은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 세금우대 저축
- 비과세 종합 저축
- 저율과세
세금우대 저축은 14년 12월 31일부로 종료되었으며, 만 20세 이상 1천만 원까지 9.5%만 납부하는 혜택이었습니다. 비과세 종합 저축은 만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원금 기준 5000만 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 직장인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저율과세로, 원금을 기준으로 3000만 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금 혜택의 종류와 세율
세금 혜택의 종류에 따라 세율이 다릅니다. 아래는 각 세금 혜택에 대한 세율 정보입니다.
세금우대 저축
- 세금 구성: 소득세 9%, 농특세 0.5%
- 가능한 금액: 최대 3,000만 원
비과세 종합 저축
- 가능한 금액: 최대 5,000만 원 (고령자 및 특정 조건 충족 시)
저율과세
- 세금 구성: 소득세 14%, 농어촌특별세 1.4%
- 상호금융에서만 가능
- 예상 증가율: 2023년 - 5%, 2024년 - 9%
세금 우대 신청 방법
세금 우대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상품 가입 시 신청해야 합니다. 예금이나 적금에 가입할 때 세금 우대나 비과세를 적용해야 하며, 가입 당시 은행 직원에게 한도를 조회하고 신청해야 합니다. 나중에 일반과세에서 세금 우대나 비과세로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세금 우대 순서
- 예금에 먼저 세금 우대 혜택을 사용하고 남은 한도가 있으면 적금에 적용합니다.
- 세금 우대로 얼마를 쓸지에 따라 금리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종잣돈을 모으기 위한 소액 적금 정도로는 적용 순서가 큰 상관 없습니다.
세금 우대 혜택은 소득세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각 세금 혜택의 종류와 세율, 신청 방법을 잘 이해하면 세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세금 혜택 종류 |
세금 구성 |
가능한 금액 |
세금우대 저축 |
소득세 9%, 농특세 0.5% |
최대 3,000만 원 |
비과세 종합 저축 |
최대 5,000만 원 (고령자 및 특정 조건 충족 시) |
|
저율과세 |
소득세 14%, 농어촌특별세 1.4% |
상호금융에서만 가능, 예상 증가율: 2023년 - 5%, 2024년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