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청년도약계좌 청년 희망적금 가입조건 가입 대상 알아보자
@바다 2024. 5. 6. 15:14
2022년 2월에 출시된 '청년 희망적금 '은 청년들을 위한 정부 적금 상품으로, 월 50만원씩 2년 동안 납입하여 2024년 2월에 만기를 맞이합니다. 이 상품은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한 제도입니다. 하지만, 새롭게 출시된 '청년도약계좌 '도 이에 못지않은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제 청년들은 두 상품을 비교하여 어떤 것이 더 나은 선택인지 고려해보아야 할 때입니다.
청년 희망적금이란?
- 2022년 2월 출시된 정부 적금 상품.
- 월 50만원씩 2년 동안 납입, 2024년 2월 만기.
- 최고 금리는 KB국민은행의 6%.
- 약 9.31%의 상품과 동일한 수익을 제공.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기
1) 청년도약계좌란?
-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부 상품.
- 최대 70만원까지 납입 가능, 5년 이상 기간.
- 청년희망저금 가입자도 가입 가능.
2)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비교
항목 |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
납입 금액 |
최대 50만원(2년) |
최대 70만원(5년 이상) |
금리 |
최고 6% |
최대 6% |
지원금 및 비과세 |
연평균 최대 18만원, 비과세 |
연평균 28 ~ 36만원, 비과세 |
수익률 비교 |
2년간 10.49% |
5년간 약 17.6% |
2024년 2월에 청년희망적금 이 만기되는 분들은 자신의 투자 성향과 맞는 상품을 잘 선택하여 청년도약계좌 로 갈아타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청년도약계좌 를 통해 청년들이 더 나은 경제적 미래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청년들은 이제 자신의 상황과 목표에 맞게 상품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청년들에게는 보다 안정적인 경제적 미래가 보장될 것입니다.
항목 |
내용 |
청년도약계좌 |
매달 70만 원씩 5년 동안 납입 가능 |
금융위원회 소관 예산은 3527억 7200만원 중 3440억 3700만원이 기여금, 85억 8100만원은 인프라 구축 비용으로 편성됨 |
|
청년도약계좌 지급 플랜 |
매월 40만 원부터 70만 원까지 납입 시 시중 금리를 제외한 금액에 정부가 3%~6%를 추가로 보조 |
기존에는 10년 만기 1억 원을 계획했으나, 현실성을 고려해 5년 만기 5천만 원으로 변경됨 |
|
예를 들어, 70만 원 X 60개월 (5년) = 4,200만 원 원금 + 800만 원 지원금 = 5천만 원의 목돈 마련 |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
만 19세 ~ 34세 이하 청년 근로소득자가 가입 가능 |
개인 소득은 6,000만 원 이하이며, 가구 기준 중위 소득은 180% 이하여야 함 |
|
이자소득은 비과세 |
|
예상 가입 대상은 약 306만 명 |
|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
2023년 상반기 중 출시 예정 |
청년도약계좌와 청년 희망적금 비교 |
속성 |
청년희망적금 |
|
가입 대상 |
만19세 ~ 34세 청년 (군복무 기간 +6년) |
소득 조건 |
전년도 총급여 3,600만원 or 종합소득세 2,600만원 이하 |
혜택 |
1. 은행이자 : 연5%2. 저축장려금 : 연 2 ~ 4%3. 비과세 : 이자소득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