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고용보험료 계산기로 고용보험료를 손쉽게 계산해보세요
@바다 2024. 6. 20. 10:13
고용보험료 계산기 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고용보험은 만 65세 이전 근로자가 대상이며, 월 60시간 이상 근무 시 의무적으로 가입되어야 합니다. 고용보험에 가입하면 실업급여, 국비 지원 교육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에도 일정 조건에 따라 4대 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고용보험 가입 절차
근로자는 자신의 가입 여부를 고용보험 토탈서비스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업주는 근로자를 고용하면서 해당 근로자의 고용보험 가입을 신청해야 합니다. 근로자는 정기적으로 고용보험료 를 납부하며, 대개는 급여에서 자동으로 공제됩니다. 고용보험 혜택이 필요한 경우, 관련 절차를 따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료 계산
고용보험료는 근로자의 월 급여에 비례하여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월 급여가 200만 원이고 고용보험 요율이 0.8%라면, 매월 1,600원의 고용보험료 가 발생합니다.
고용보험 의무 가입 대상 및 제외 대상자
대부분의 근로자들이 고용보험에 가입되어야 하지만, 일부 예외 사항도 있습니다. 만 65세 이상 근로자, 단시간 근로자, 특정 공공기관 직원 등이 고용보험 가입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실업급여 계산
실업급여는 이전 근무 기간과 급여를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이전 3개월의 평균 일급이 80,000원이라면, 실업급여 일액은 이의 60%인 48,000원입니다.
일용직 근로자의 4대 보험 가입 및 계산
일용직 근로자는 월 8일 이상 또는 월 60시간 이상 근무 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각 보험별로 근로자의 일급과 근무 일수에 따라 정해진 비율에 따라 계산됩니다.
연령 및 가입기간 표
연령 및 가입기간 |
1년 미만 |
1년 이상 |
3년 미만 |
3년 이상 |
5년 미만 |
5년 이상 |
10년 미만 |
10년 이상 |
50세 미만 |
120일(약 4개월) |
150일(약 5개월) |
180일(약 6개월) |
210일(약 7개월) |
240일(약 8개월) |
|||
50세 이상 및 장애인 |
120일(약 4개월) |
180일(약 6개월) |
210일(약 7개월) |
240일(약 8개월) |
270일(약 9개월) |
항목 |
내용 |
고용보험 대상 및 가입 조건 |
만 65세 이전 근로자 대상, 월 60시간 이상 근무 시 의무적 가입 |
고용보험료 계산 방법 |
근로자의 월 급여에 비례하여 계산 |
실업급여 계산 방법 |
이전 근무 기간과 급여를 고려하여 계산 |
일용직 근로자의 4대 보험 가입 |
월 8일 이상 또는 월 60시간 이상 근무 시 의무적 가입 |
특이 사례 |
만 65세 이상 근로자, 단시간 근로자, 특정 공공기관 직원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