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모두채움대상자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신고 기간 마무리는 여기서
@바다 2024. 7. 3. 09:36
안녕하세요! 오늘은 '모두채움대상자 '에 대해 함께 알아보려고 해요. 모두채움대상자 는 종합소득세를 근로, 연금, 기타 소득으로 인해 신고해야 하는 분들을 말해요. 이들은 간단하게 홈택스나 손택스를 통해 세무 신고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요.
모두채움 서비스 대상자
' 모두채움 서비스'는 사업 소득이 아닌 근로, 연금, 기타 소득이 발생한 사람들에게 제공됩니다. 올해 모두채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은 약 700만 명으로, 이들은 국세청의 기준에 따라 다양한 업종별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도소매업은 6천만 원 미만, 제조업과 음식점은 3,600만 원 미만, 임대와 서비스업은 2,400만 원 미만의 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아래 표는 각 업종별 모두채움 서비스 대상자 기준을 보여줍니다:
업종 |
모두채움 서비스 대상 소득 기준 |
도소매업 |
6천만 원 미만 |
제조업 및 음식점 |
3,600만 원 미만 |
임대와 서비스업 |
2,400만 원 미만 |
모두채움 서비스 신고 방법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은 5월 1일부터 31일까지이며, 모두채움 대상자 는 세무서 방문 없이도 홈택스나 손택스를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는 맞춤형 신고를 위해 미리 작성된 정보를 제공하며, 손택스를 사용할 경우에도 종합소득세 신고가 가능합니다.
모두채움 신고 시 확인해야 하는 사항
모두채움 신고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 부양가족 등록 여부 확인 : 연말정산 내역이나 전년도 부양가족 등록 내역이 정확하게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분리과세 소득 여부 확인 : 일정 금액 이하의 기타 소득이 있는 경우 분리과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적자 발생 여부 확인 : 사업에서 적자가 발생한 경우에도 모두채움 을 통해 간편하게 장부를 신고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확인해야 할 사항을 정리한 표입니다:
확인 사항 |
세부 사항 |
부양가족 등록 여부 확인 |
연말정산 내역 및 전년도 부양가족 등록 확인 |
분리과세 소득 여부 확인 |
일정 금액 이하의 기타 소득이 있는 경우 분리과세 신고 선택 가능 여부 확인 |
적자 발생 여부 확인 |
사업에서 발생한 적자가 있는 경우, 모두채움을 통한 장부 신고가 가능한지 확인 |
오늘 포스팅에서는 모두채움대상자 를 위한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과 필수 확인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세무 서비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세무 신고를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했으니, 신고 기간 내에 필요한 준비를 철저히 하시기 바랍니다.
모두채움 서비스 대상자 기준
업종 |
모두채움 서비스 대상 소득 기준 |
도소매업 |
6천만 원 미만 |
제조업 및 음식점 |
3,600만 원 미만 |
임대와 서비스업 |
2,400만 원 미만 |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항목 |
상세 내용 |
신고 기간 |
5월 1일부터 31일까지 |
신고 방법 |
홈택스 또는 손택스를 통한 신고 가능 |
홈택스 기능 |
맞춤형 신고를 위한 미리 작성된 정보 제공 |
손택스 신고 |
종합소득세 및 기타 세금 신고 가능 |
신고 시 확인 사항
확인 사항 |
세부 사항 |
부양가족 등록 여부 확인 |
연말정산 내역 및 전년도 부양가족 등록 확인 |
분리과세 소득 여부 확인 |
일정 금액 이하의 기타 소득이 있는 경우 분리과세 신고 선택 가능 여부 확인 |
적자 발생 여부 확인 |
사업에서 발생한 적자가 있는 경우, 모두채움을 통한 장부 신고가 가능한지 확인 |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