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치매검사비 지원,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알아보세요
@바다 2025. 3. 17. 09:30
치매는 많은 이들에게 심각한 우려를 주는 질병입니다. 특히, 인구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치매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치매검사비 지원' 정책을 마련하여 조기 검진을 통한 예방과 진행 완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치매검사비 지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치매검사비 지원이란?
치매검사비 지원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치매 진단검사 및 감별검사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 지원은 검사비 부담을 덜어주고, 조기 검진을 통해 치매의 예방 및 진행 완화를 목표로 합니다.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진단검사 : 최대 15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 감별검사 :
- 의원 및 병원급: 최대 8만 원 지원
- 상급종합병원: 최대 11만 원 지원
- 지원 한도 : 비급여 항목을 제외한 급여 항목의 본인 부담 비용 범위 내에서 지원됩니다.
검사비 지원은 원칙적으로 대상자별로 1회만 가능하지만, 사전 검사 결과와 대상자의 생활환경에 따라 추가 지원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지원대상 및 선정기준
치매검사비 지원의 대상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령 기준 : 만 60세 이상 환자 (만 60세 미만은 비급여로 지원 불가)
- 소득 기준 :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의 가구원
- 의료급여 수급자 : 소득 기준 충족
- 국민건강보험료 : 본인 부담액이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기준 이하인 경우

아래는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기준과 건강보험료에 대한 표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및 건강보험료 지원 기준
가구원 수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기준 중위소득 120% |
2,675천원 |
4,420천원 |
5,658천원 |
6,876천원 |
8,035천원 |
가구원 수 |
직장 가입자 |
지역 가입자 |
1인 |
95,183원 |
24,266원 |
2인 |
157,035원 |
109,680원 |
3인 |
202,377원 |
152,948원 |
4인 |
247,170원 |
205,217원 |
5인 |
289,638원 |
254,448원 |
치매검사비 지원 방법
치매검사비 지원을 받으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 신청 장소 : 주민등록 주소지의 관할 치매안심센터에서 지원 신청을 합니다.
- 필요 서류 :
- 치매검사비 신청서
- 통장 사본
- 주민등록등본
- 건강보험증 사본
-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 치매치료제 약 처방전 또는 약품명이 기재된 약국 영수증
신청 후에는 보건소에서 서비스 신청 접수를 받고, 조사 및 심사 과정을 거쳐 대상자가 결정되면 서비스가 지급됩니다. 모든 과정은 관할 치매안심센터에서 진행되므로, 해당 센터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매검사비 지원'은 치매 조기 발견과 치료에 있어 중요한 정책입니다. 만약 만 60세 이상의 부모님이나 지인이 있다면, 이 지원 제도를 통해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치매는 예방과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므로, 국가의 지원을 적극 활용해 건강한 노후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정보는 치매안심센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